「축산물위생관리법」 제24조 영업의 신고
제24조 (영업의 신고)
① 제21조제1항제6호부터 제8호까지의 규정에 따른 영업을 하려는 자는 총리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제21조제1항에 따른 시설을 갖추고 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다만, 제21조제1항제7호의 축산물판매업 중 축산물을 수입하여 판매하는 영업을 하려는 자는 제21조제1항에 따른 시설을 갖추고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② 제1항에 따라 신고를 한 자가 그 영업을 휴업, 재개업 또는 폐업하거나 신고한 내용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총리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또는 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③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1항에 따른 영업신고를 할 수 없다.
1. 제27조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영업소 폐쇄명령을 받고 6개월이 지나기 전에 같은 장소에서 같은 종류의 영업을 하려는 경우. 다만, 제2항에 따른 변경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영업시설 전부를 철거하여 영업소 폐쇄명령을 받은 경우는 제외한다.
2. 제27조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영업소 폐쇄명령을 받고 2년이 지나기 전에 같은 자(법인인 경우에는 그 대표자를 포함한다)가 폐쇄명령을 받은 영업과 같은 종류의 영업을 하려는 경우
3. 제27조제1항에 따라 영업정지처분을 받고 그 정지 기간이 지나기 전에 같은 장소에서 같은 종류의 영업을 하려는 경우
4. 제27조제1항에 따라 영업정지처분을 받고 그 정지 기간이 지나지 아니한 자(법인인 경우에 그 대표자를 포함한다)가 정지된 영업과 같은 종류의 영업을 하려는 경우
④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또는 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은 영업자(제1항에 따라 영업신고를 한 자만 해당한다)가 「부가가치세법」 제5조에 따라 관할 세무서장에게 폐업신고를 하거나 관할 세무서장이 사업자등록을 말소한 경우에는 신고 사항을 직권으로 말소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전문개정 2010.5.25.]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관련법규 > 축산관련법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 및 쇠고기 이력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농림축산식품부령 제1호) (0) | 2014.10.02 |
---|---|
「축산법」 제40조 등급의 표시 등 (0) | 2014.10.02 |
「축산물위생관리법」 제31조 영업자 등의 준수사항 (0) | 2014.10.02 |
「축산물위생관리법」 제15조 수입축산물의 신고 등 (0) | 2014.10.02 |
「축산물위생관리법」 제26조 압류·폐기 또는 회수 (0) | 2014.10.02 |
「축산물위생관리법」 제22조 영업의 허가 (0) | 2014.10.02 |
소 및 쇠고기 이력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과태료의 부과기준 (제13조제1항 관련) (0) | 2014.10.02 |
소 및 쇠고기 이력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25133호) (0) | 2014.10.02 |
소 및 쇠고기 이력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11431호) (0) | 2014.10.02 |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서식] 조사공무원증 (0) | 2014.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