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위생법」 제36조에 따른 식품접객업
「식품위생법」
제36조 (시설기준)
① 다음의 영업을 하려는 자는 총리령으로 정하는 시설기준에 맞는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개정 2010.1.18., 2013.3.23.>
3. 식품접객업
② 제1항 각 호에 따른 영업의 세부 종류와 그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식품위생법 시행령」
제21조 (영업의 종류)
법 제36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세부 종류와 그 범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0.3.15, 2011.3.30, 2013.3.23, 2013.12.30>
8. 식품접객업
가. 휴게음식점영업 : 주로 다류(茶類), 아이스크림류 등을 조리ㆍ판매하거나 패스트푸드점, 분식점 형태의 영업 등 음식류를 조리ㆍ판매하는 영업으로서 음주행위가 허용되지 아니하는 영업. 다만, 편의점, 슈퍼마켓, 휴게소, 그 밖에 음식류를 판매하는 장소(만화가게 및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제7호에 따른 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을 하는 영업소 등 음식류를 부수적으로 판매하는 장소를 포함한다)에서 컵라면, 일회용 다류 또는 그 밖의 음식류에 물을 부어 주는 경우는 제외한다.
나. 일반음식점영업 : 음식류를 조리ㆍ판매하는 영업으로서 식사와 함께 부수적으로 음주행위가 허용되는 영업
다. 단란주점영업 : 주로 주류를 조리ㆍ판매하는 영업으로서 손님이 노래를 부르는 행위가 허용되는 영업
라. 유흥주점영업 : 주로 주류를 조리ㆍ판매하는 영업으로서 유흥종사자를 두거나 유흥시설을 설치할 수 있고 손님이 노래를 부르거나 춤을 추는 행위가 허용되는 영업
마. 위탁급식영업 : 집단급식소를 설치ㆍ운영하는 자와의 계약에 따라 그 집단급식소에서 음식류를 조리하여 제공하는 영업
바. 제과점영업 : 주로 빵, 떡, 과자 등을 제조ㆍ판매하는 영업으로서 음주행위가 허용되지 아니하는 영업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관련법규 > 축산관련법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25133호) (0) | 2014.09.30 |
---|---|
「대외무역법」 제33조에 따른 수출입 물품등의 원산지의 표시 (0) | 2014.09.30 |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에 따른 통신판매의 범위 (0) | 2014.09.30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른 통신판매 (0) | 2014.09.30 |
「식품위생법」 제2조에 따른 집단극식소 (0) | 2014.09.30 |
「농어업·농어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3조에 따른 수산물 (0) | 2014.09.30 |
「농어업·농어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3조에 따른 농산물 (0) | 2014.09.30 |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률 (법률 제11958호) (0) | 2014.09.30 |
식품위생 분야 종사자의 건강진단 규칙 [별표] 건강진단 항목 및 횟수 (제2조 관련) (0) | 2014.09.29 |
식품위생 분야 종사자의 건강진단 규칙 (총리령 제1015호) (0) | 2014.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