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상반기 한우 시장의 동향 - 송아지 입식 열기
2014년 연말 226만7000원이었던 한우 수송아지(6~7개월령) 산지가격은 2015년 들어 1월 231만1000원으로 상승하였고, 3월 240만7000원, 4월 261만9000원, 5월 276만3000원, 6월에는 연초 대비 30% 상승한 301만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
이는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정책적으로 진행된 암소 도태사업 영향으로 송아지 생산 마릿수가 크게 감소하였고, 한우 도매가격의 강세로 한우농가의 입식 열기가 뜨거워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향후 도매가격을 높게 받을 수 있다는 막연한 기대감으로 무작정 송아지를 구입하는 것을 경계하여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현재와 같은 ‘묻지마 입식’은 송아지의 산지 가격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소를 출하할 때에는 생산비도 건지지 못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축산물 생산비에 따르면 수송아지를 600㎏짜리로 키우기까지 사료비는 249만원 이상 소요되며, 자가노동비·방역치료비 등의 부대비용을 합산하면 생산비는 394만원 가량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농가가 250만원을 주고 수송아지 한마리를 구입한 경우, 출하시에 최소 644만원을 받아야 본전이 된다는 것인데 출하시에도 현재와 같은 한우 도매가격의 강세가 유지될지 미지수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입식열기로 인한 한우의 생산비 상승은 결국 소비자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져 한우의 가격 경쟁력 자체를 약화시키고, 수입 쇠고기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이에 전문가들은 송아지를 입식할 때에는 2년 이후의 상황을 고려하여야 하며, 2018년 이후에는 한우 도매가격의 상승흐름이 주춤할 것으로 관측되는 만큼 손익계산과 농장경영계획에 따라 신중하게 입식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2015년 상반기 한우 시장의 동향 - 농가 조기출하 바람 바로가기 : http://themeat.tistory.com/3723
2015년 상반기 한우 시장의 동향 - 한우 소비의 활성화 바로가기 : http://themeat.tistory.com/3724
2015년 상반기 한우 시장의 동향 - 소고기 자급률의 하락 바로가기 : http://themeat.tistory.com/3725
2015년 하반기 한우 시장의 전망 바로가기 : http://themeat.tistory.com/3726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동향 > 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10월 한우 가격 동향 (0) | 2015.09.30 |
---|---|
2015년 10월 한우 도축과 수입 동향 (0) | 2015.09.30 |
2015년 상반기 한우 시장의 동향 - 소고기 자급률의 하락 (0) | 2015.07.24 |
2015년 상반기 한우 시장의 동향 - 한우 소비의 활성화 (0) | 2015.07.24 |
2015년 상반기 한우 시장의 동향 - 농가 조기출하 바람 (0) | 2015.07.24 |
2015년 7월 한우 및 육우 가격 동향 (0) | 2015.07.01 |
2015년 7월 한우 및 육우 도축과 수입 동향 (0) | 2015.07.01 |
2015년 7월 한우 및 육우 사육과 번식 동향 (0) | 2015.07.01 |
2015년 5월 한우 및 육우 가격 동향 (0) | 2015.04.28 |
2015년 5월 한우 및 육우 도축과 수입 동향 (0) | 201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