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상반기 한우 시장의 동향 - 소고기 자급률의 하락
한우 도매가격의 강세로 소고기 수입량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우업계에 따르면 한우 도매가격이 3월부터 상승세를 보이기 시작하자 소고기 수입량도 같이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실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축산물 수입검역 실적을 살펴보면 2015년 1~2월 소고기 수입량은 2만2982t, 1만5976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2498t, 4937t 감소하였으나, 3월부터는 급격한 증가세로 전환되어 1년 전 수준(2만4761t)에 근접한 2만3535t을 기록하였고, 4월엔 2만3952t으로 지난해 같은 달의 수입량(2만3256t)을 추월하였습니다.
5~6월에도 소고기는 지난해 같은 때(2014년 5월 2만1730t, 6월 2만3776t)보다 많은 2만4819t, 2만8102t이 수입되었습니다.
|
전문가들은 한우 도매가격의 강세가 최소한 올 추석이 있는 9월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 같은 소고기 수입량 급증세가 하반기에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소고기 수입량은 8~9월 4만5000~5만t, 10~12월 7만5000~8만t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고, 이는 2014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4.3~15.8%, 3.9~10.8% 증가한 수치입니다.
2015년 상반기 소고기 자급률은 47.9%로 추정되고 있으며, 하반기 소고기 수입량도 2014년보다 증가하여 2015년 소고기 자급률은 45% 내외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소고기 자급률이 50% 이하로 하락하는 것은 국산 소고기보다 수입 소고기가 더 많이 소비된다는 의미로서,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소고기 시장 자체가 수입 소고기에 잠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2015년 상반기 한우 시장의 동향 - 송아지 입식 열기 바로가기 : http://themeat.tistory.com/3722
2015년 상반기 한우 시장의 동향 - 농가 조기출하 바람 바로가기 : http://themeat.tistory.com/3723
2015년 상반기 한우 시장의 동향 - 한우 소비의 활성화 바로가기 : http://themeat.tistory.com/3724
2015년 하반기 한우 시장의 전망 바로가기 : http://themeat.tistory.com/3726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동향 > 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 1월 한육우 사육과 번식 동향 (0) | 2015.12.29 |
---|---|
2015년 11월 한우 가격 동향 (0) | 2015.10.26 |
2015년 11월 한우 도축과 수입 동향 (0) | 2015.10.26 |
2015년 10월 한우 가격 동향 (0) | 2015.09.30 |
2015년 10월 한우 도축과 수입 동향 (0) | 2015.09.30 |
2015년 상반기 한우 시장의 동향 - 한우 소비의 활성화 (0) | 2015.07.24 |
2015년 상반기 한우 시장의 동향 - 농가 조기출하 바람 (0) | 2015.07.24 |
2015년 상반기 한우 시장의 동향 - 송아지 입식 열기 (0) | 2015.07.24 |
2015년 7월 한우 및 육우 가격 동향 (0) | 2015.07.01 |
2015년 7월 한우 및 육우 도축과 수입 동향 (0) | 201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