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6월 한육우 사육 동향 및 전망
* 3월 사육 마릿수 전년보다 5.4% 감소
|
한육우 사육동향 |
• 3월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266만 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15만 2천 마리(5.4%), 작년 12월 276만 마리보다는 10만 마리(3.3%) 감소하였다. 그 중 한우 사육 마릿수는 256만 마리(전년보다 5.5% 감소)였으며, 육우 사육 마릿수는 9만 7천 마리(2.8% 감소)였다.
• 가임 암소는 110만 3천 마리로 전년 동기에 비해 3만 9천 마리(3.4%) 감소하였다. 사육 가구수는 10만 2천 가구로 전년보다 1만 7천 가구(14.2%) 감소하였으며, 가구당 마릿수는 26.1마리로 전년보다 2.4마리(10.2%) 증가하였다.
* 1∼4월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보다 8.3% 감소
|
고기소 배합사료 생산 동향 |
• 사육 마릿수 감소로 1∼4월 고기소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보다 8.3% 감소한 153만 5천 톤이었다. 번식용 사료(임신+번식)는 27만 6천 톤(3.9% 감소), 비육용 사료는 125만 9천 톤(9.2% 감소)으로 나타났다.
단위: 천 가구, 천 마리
구분 |
'13.3 |
6 |
9 |
12 |
'14.3 |
6 |
9 |
12 |
'15.3 | ||
사육 가구수 |
142 |
137 |
132 |
124 |
119 |
114 |
110 |
104 |
102 | ||
총 마릿 수 |
2,966 |
3,064 |
3,043 |
2,918 |
2,811 |
2,879 |
2,820 |
2,759 |
2,659 | ||
한우 |
2,848 |
2,949 |
2,931 |
2,810 |
2,711 |
2,787 |
2,732 |
2,670 |
2,562 | ||
육우 |
119 |
115 |
112 |
108 |
99 |
92 |
88 |
89 |
97 | ||
성별 |
1세 미만 |
암 |
396 |
383 |
369 |
367 |
349 |
341 |
348 |
362 |
345 |
수 |
470 |
459 |
438 |
434 |
415 |
401 |
408 |
422 |
414 | ||
1-2세 |
암 |
409 |
412 |
419 |
420 |
406 |
383 |
365 |
362 |
350 | |
수 |
479 |
491 |
496 |
491 |
457 |
449 |
423 |
420 |
407 | ||
2세 이상 |
암 |
996 |
1,037 |
1,024 |
956 |
938 |
1,001 |
983 |
942 |
928 | |
수 |
216 |
281 |
296 |
251 |
245 |
305 |
293 |
251 |
215 | ||
한육우 성별^연령별 사육 동향과 사육 가구수 현황 |
* 1∼4월 한우 정액 판매 전년보다 1.9% 증가
|
한우 정액 판매량 현황 |
• 번식의향이 높아 1∼4월 한우 정액 판매량은 전년 50만 9천 스트로우보다 1.9% 증가한 51만 9천 스트로우였다.
• 한우 정액 판매량을 이용하여 1세 미만 송아지 생산 잠재력을 추정한 결과, 5월 이후 송아지 생산 마릿수는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한우 전업농가 송아지 입식의향 회복
|
1세 미만 송아지 생산 잠재력 추이 |
• 표본농가 송아지 입식의향 조사결과, 최근 송아지 가격이 일시적으로 약세를 보이면서 송아지 입식을 당초 계획보다 줄이겠다는 응답비율이 전분기(3.0%), 전년동기(5.1%)보다 낮은 2.3%에 불과하여 입식의향이 높아졌다.
• 표본농가 사육형태 조사결과 일관사육 비율이 69.7%(341농가), 번식전문 14.1%(69농가), 비육전문이 16.2%(79농가)로 나타났다(표본농가 조사결과).
단위: %
'14.6월 |
9월 |
12월 |
'15.3월 |
6월 | |
변경 없음 |
92.7 |
92.1 |
92.1 |
95.8 |
97.4 |
증가 |
2.2 |
1.3 |
1.5 |
1.2 |
0.3 |
감소 |
5.1 |
6.6 |
6.4 |
3.0 |
2.3 |
송아지 입식의향 조사 결과 |
• 폐업의향 조사결과, 최근 한우 가격이 상승세를 보여 농가의 90.9%(478농가)가 환경변화에 상관없이 한우를 계속 키우겠다고 응답하였다(2014년 82.5%, 468농가).
* 6, 9월 사육 마릿수 전년 대비 감소세 지속
단위: 천 마리
기간 |
송아지 생산 |
도축 마릿수 |
한육우 사육 마릿수 |
2014년 9~11월 |
146(108) |
216(269) |
12월 : 2,759(2,918) |
2014년 12월~2015년 2월 |
130(139) |
274(279) |
2015년 3월 : 2,659(2,811) |
2015년 3~5월 |
277(276) |
201(232) |
6월 : 2,730(2,879) |
6~8월 |
193(181) |
214(268) |
9월 : 2,694(2,820) |
한육우 사육 마릿수 전망 |
• 1세 이상 소 사육 감소로 6월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 288만 마리보다 5.2% 감소한 273만 마리로 전망된다.
• 9월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 282만 마리보다 4.5% 감소한 269만 마리로 전망된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 > 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하반기 한우 시장의 전망 (0) | 2015.07.24 |
---|---|
2015년 상반기 한우 시장의 동향과 하반기 한우 시장의 전망 (0) | 2015.07.24 |
2015년 7월 한우 및 육우 사육과 가격 전망 (0) | 2015.07.01 |
2015년 6월 한우 가격 동향 및 전망 (0) | 2015.05.26 |
2015년 6월 쇠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0) | 2015.05.26 |
2015년 5월 한우 및 육우 사육과 가격 전망 (0) | 2015.04.28 |
2015년 5월 한우 및 육우 사육 및 번식 동향 (0) | 2015.04.28 |
2015년 4월 한우 및 육우 사육과 가격 전망 (0) | 2015.03.30 |
2015년 4월 한우 및 육우 가격 동향 (0) | 2015.03.30 |
2015년 4월 한우 및 육우 도축과 수입 동향 (0) | 201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