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육의향 증가로 9월 한육우 사육 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 2017년 3분기부터 이력제의 소 사육 마릿수로 가축통계를 대체하였으므로 공식자료로 활용중이다. 9월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309만 1천 마리로 전년 동기 301만 6천 마리 보다 7만 5천 마리(2.5%)증가하였으며, 전 분기보다는 5만 7천 마리(1.9%)증가하였다.
- 이 중 한우 사육 마릿수는 293만 9천 마리로 전년 동기보다 2.7% 증가하였으며, 육우 사육 마릿수는 15만 2천 마리로 전년보다 1.4% 감소하였다.
- 가임암소 마릿수는 139만 8천 마리로 전년 동기에 비해 2.7%(3만 7천 마리)증가하였다.
• 한육우 사육 농장수는 9만 9천 가구로 전년보다 3천 9백 가구(3.8%)감소하였다.
□ 송아지 가격 강세로 한우 정액 판매량 전년보다 증가
• 1~10월 한우 정액 판매량은 전년 동 기간 156만 5천 스트로보다 7.1% 증가한 168만 6천 스트로였다. 이 중 10월 정액 판매량은 18만 스트로로 전년 동월보다 15.4% 증가하였다.
한우 정액 판매량 현황 |
1세 미만 송아지 생산 잠재력 추이 |
□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 동기간보다 1.5% 증가
• 10월까지 한육우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372만 2천톤)보다 1.5% 증가한 377만 8천톤이었다. 비육우용 사료는 0.1% 감소한 반면, 번식우용 및 임신우용 사료는 각각 3.7%, 8.4% 증가하였다.
한육우용 배합사료 생산동향 |
□ 송아지 입식 의향은 전년보다 높아
• 표본농가의 송아지 입식의향 조사결과, 당초 계획과 변함없다는 응답이 가장 크게 조사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고기소 가격의 강세로 농가의 송아지 입식의향이 높아 송아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입식 의향 | 2016년 | 2017년 | |||
6월 | 9월 | 12월 | 9월 | 12월 | |
변동없음 | 92.3 | 94.6 | 96.5 | 98.6 | 98.1 |
증가 | 5.2 | 3.5 | 2.5 | 1.4 | 1.5 |
감소 | 2.5 | 1.9 | 1.0 | 0.0 | 0.5 |
송아지 입식 의향 조사 결과 |
□ 1세 이상 마릿수 증가로 내년 3월 한우 마릿수 증가 전망
• 거세우 출하예정 물량이 적어 12~2월 한우 도축 마릿수는 전년 동기간 204천 마리보다 1.4% 감소한 201천 마리로 전망된다. 3월 이후에도 도축 마릿수는 전년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 도축 마릿수 감소와 1세 이상 사육 마릿수 증가로 12월 한우 마릿수는 전년보다 1.2% 증가한 284만 4천 마리로 전망된다.
• 내년 3월 한우 사육 마릿수는 전년보다 3.2% 증가한 284만 8천 마리로 전망된다. 정액 판매량을 이용한 송아지 생산 잠재력이 전년보다 낮아 송아지 생산 마릿수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1세 이상 마릿수의 증가 폭이 더 크게 나타나 전체 마릿수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 > 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3월 쇠고기 수입량 전망 (0) | 2018.02.27 |
---|---|
2018년 1월 한육우 사육과 가격 전망 (0) | 2017.12.26 |
2017년 12월 한육우 가격전망 (0) | 2017.12.01 |
2017년 12월 쇠고기 수입량 전망 (0) | 2017.12.01 |
2017년 12월 한육우 공급동향 (0) | 2017.12.01 |
2017년 11월 육우 수급동향 (0) | 2017.11.13 |
2017년 11월 한육우 사육과 가격 전망 (0) | 2017.11.13 |
2017년 11월 한우 가격동향 (0) | 2017.11.13 |
2017년 11월 한우 도축과 수입 동향 (0) | 2017.11.13 |
2017년 11월 한우 사육과 번식 동향 (0) | 2017.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