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기소 가격 약세로 송아지 가격 전년보다 하락
|
한우 산지가격(우시장) 동향 |
• 도매가격 약세로 11월(1~23일) 6~7개월령 암송아지 평균가격은 전년 동월(255만 원)보다 2.0% 하락한 249만 원, 수송아지 평균가격은 전년(315만 원)보다 2.0% 하락한 309만 원이었다.
• 11월 암소 평균가격(600kg)은 전년 동월(581만 원)보다 3.9% 하락한 558만 원이었다.
□ 1등급 이상 한우 도매가격 약세
|
한우 등급별 도매가격과 육우 가격 동향 |
• 한우고기 공급 감소에도 불구하고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1등급 이상 한우 도매가격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 11월(1~23일) 한우 1++ 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전년 동월보다 2.6% 하락한 20,260원(지육kg)이었다. 1+등급은 17,613원으로 8.1%, 1등급은 16,832원으로 6.9% 하락하였다.
□ 2~3등급과 육우 도매가격 하락폭 확대
• 11월 한우 2등급(14,600원)과 3등급(12,438원) 도매가격은 전년보다 11~15%, 육우 도매가격은 13% 하락한 8,703원(지육kg)이었다. 이는 낮은 등급에서 수입육 대체 현상이 뚜렷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단위 : 천원)
등급 |
도매가격 |
가격(A) |
경영비(B) |
소득 |
1++ |
20,260 |
7,257 |
4,848 |
2,409 |
1+ |
17,613 |
6,309 |
1,461 | |
1 |
16,832 |
6,029 |
1,181 | |
2 |
14,600 |
5,230 |
382 | |
3 |
12,438 |
4,455 |
-393 | |
등급별 비육소득 추정 |
□ 한우 비육농가 수익성 전년 동월보다 약화
• 11월 한우 도매가격 기준으로 2등급 이상에서는 경영비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전년 동월에 비해서 1등급 이상 소득은 50만 원 이상 낮아졌다.
□ 설 전후 한우 도매가격 약세 전망
• 도축 마릿수가 감소하나 설 전후 수요 불확실성이 커 12월~내년 2월 큰 소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전년(18,040원) 대비 약세인 kg당 16,000~17,500원(생체 600kg 환산 573~627만 원)으로 전망된다.
• 연말연시 외식과 선물 수요 감소로 한우고기 재고가 늘어날 경우, 내년 2월 한우 1등급 도매가격은 경영비 이하에서 형성될 수도 있다. 송아지 가격 또한 고기소 가격에 따라 약세가 예상된다.
• 수요측면의 불안정한 흐름이 지속될 경우, 한우업계에서는 소비촉진 행사, 급식 확대 등의 자구 노력이 필요하다.
□ 2017년 송아지 생산 올해보다 늘어나기 힘들어
• 2016년 정액판매량이 2015년보다 감소한 상황에서 소규모 번식 전문 농가 감소로 송아지 생산이 크게 늘어나기 힘든 구조이다. 이에 2017년 사육 마릿수는 2016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한 우 |
12월~내년 2월 | ||
2016년 |
2017년 | ||
큰 소 |
산지 (600kg) |
646만원 |
573~627만 원 |
도매 (지육kg) |
18,040원 |
16,000~17,500원 | |
수송아지(6-7개월) |
318만 원 |
300~320만 원 | |
한우 단기 가격 전망 |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 > 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년 4월 한육우 사육과 번식 동향 (0) | 2017.03.29 |
---|---|
2017년 3월 한우 가격 동향 및 전망 (0) | 2017.03.02 |
2017년 3월 쇠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0) | 2017.03.02 |
2017년 3월 한육우 사육 동향 및 전망 (0) | 2017.03.02 |
2017년 1월 한육우 사육과 가격 전망 (0) | 2017.01.06 |
2016년 12월 쇠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0) | 2016.11.28 |
2016년 12월 한육우 사육 동향 및 전망 (0) | 2016.11.28 |
2016년 11월 한육우 사육과 가격 전망 (0) | 2016.11.01 |
2016년 10월 한육우 사육과 가격 전망 (0) | 2016.10.01 |
2016년 10월 한육우 가격동향 (0) | 2016.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