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한국토종닭협회 한닭판매점 인증제
한닭판매점 인증제란, 백세미 또는 산란계 노계의 토종닭으로 둔갑되는 것을 방지하여 토종닭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에게 토종닭 생산과정 및 유통과정을 투명화하여 안전한 먹거리로서의 인식을 제고하고 위하여 깨끗하고 위생적인 토종닭 “한닭”을 취급하는 음식점을 사단법인 한국토종닭협회가 인증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한닭은 토종닭이 한우, 한돈, 한식, 한류 등과 같이 한(韓)브랜드에 발 맞추어 국가대표 닭으로서 세계적으로도 널리 이름을 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국 토종닭의 새로운 이름입니다.
한닭판매점 인증 절차
1. 인증신청대상
한닭판매점 인증을 신청할 수 있는 대상은 깨끗하고 위생적인 토종닭 “한닭”을 취급하는 음식점, 판매점, 유통점을 대상으로 하며, 인증대상에 대한 매장면적 및 지역적 구분은 없습니다.
2. 인증신청
한닭판매점 인증을 신청하려는 자는 토종닭“한닭”판매점 신청서에 구비서류를 첨부하여 (사)한국토종닭협회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구비서류 |
|
|
|
3. 서류검토
신청서가 접수된 된 때에는 (사)한국토종닭협회가 당해 신청서에 대하여 서류검토를 합니다.
서류검토에서는 신청서 기재란의 적정성 및 구비서류 등을 확인하게 됩니다. 서류검토 후 현장심사 일정을 통보하게 됩니다.
4. 현장점검
서류검토를 통과한 때에는 현장심사를 시행합니다.
현장점검은 신청업체의 현장의 방문하여 심사를 하게 됩니다.
5. 최종심사
현장점검 이후 인증위원회가 최종심사를 하여 인증부여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 경우, 인증위원회는 학계, 정부, 소비자단체, 협회 등 각계 전문가로 구성됩니다.
6. 인증부여
서류검토와 현장점검을 통하여 인증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인증위원회가 인정한 때에는 인증업체로 선정하게 됩니다.
|
|
한닭판매점 인증 효과
한닭판매점으로 인증된 때에는 다양한 홍모물 및 판촉물 지원을 하며, (사)한국토종닭협회 홈페에지에서 인증된 판매점을 지속적으로 홍보하게 됩니다. 또한, 토종닭 “한닭”의 홍보시 한닭판매점 인증에 대한 홍보도 함께 실시합니다.
한닭판매점 인증 현황 바로가기 : http://themeat.tistory.com/1546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관련 인증제도 > 민간인증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 한돈판매점 음식점 지역별 인증 현황 - ① 서울 (0) | 2014.11.14 |
---|---|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 한돈판매점 인증제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0) | 2014.11.13 |
(사) 대한양계협회 국산 닭고기 인증 현황 (2) | 2014.11.07 |
(사) 대한양계협회 국산 닭고기 인증제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0) | 2014.11.06 |
(사) 한국토종닭협회 한닭판매점 인증 현황 (0) | 2014.11.06 |
한국양돈연구회 번식성적 우수농장 공모제 현황 (0) | 2014.11.04 |
한국양돈연구회 번식성적 우수농장 공모제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0) | 2014.11.04 |
전국한우협회 우리한우판매점 선정 현황 (0) | 2014.10.31 |
전국한우협회 우리한우판매점 선정제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0) | 2014.10.31 |
전국한우협회 한우인증점협의회 가입 현황 (0) | 201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