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월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 전년보다 감소,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 감소
|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
• 7월(21일까지)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는 55,601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3.7% 감소하였다.
- 2016년 여름 폭염 피해로 인해 모돈 생산성이 하락하여 도축 마릿수가 감소하였다.
• 돼지고기 수요 증가로 7월(21일까지) 일평균 경락 마릿수는 4,590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14.3%, 평년보다는 20.7% 감소하였다. 도매시장 출하 비중은 8.3%로 전년 동월 9.2%보다 0.9% 감소하였다.
□ 국내 가격 강세로 6월 돼지고기 수입량 전년 동월 대비 증가
|
돼지 경락 마릿수 동향 |
• 6월 돼지고기 수입량은 3만 6,758톤으로 전월보다 8.8% 감소하였으나, 전년 동월보다 17.4%, 평년보다 45.6% 증가하였다.
- 삼겹살은 16,392톤이 수입되어 전체 수입량의 45.9%를 차지하였다. 전지, 후지 등 냉동 가공육 원료 수입은 16,482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8.0% 증가하였다.
□ 출하예정 마릿수 증가로 8월 돼지고기 생산량, 수입량, 공급량 증가 전망
• 모돈수 증가에 따른 자돈 생산 증가로 8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증가한 129만 마리로 전망된다.
- 등급판정 마릿수 증가로 8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 동월보다 0.5% 증가한 6만 8천 톤으로 전망된다.
• 국내 돼지 지육가격이 상승하여 8월 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월보다 증가한 2만 7천 톤 내외로 전망된다.
• 돼지고기 생산량과 수입량 증가로 8월 돼지고기 공급량은 전년보다 증가한 9만 5천 톤으로 전망된다.
(단위: 천 톤, %)
구분 |
6월 |
7월 |
8월 |
2017년(A) |
68.9 |
62.4 |
68.3 |
2016년(B) |
65.7 |
64.7 |
68.0 |
평년(C) |
61.4 |
65.2 |
64.3 |
(A)/(B) 증감률 |
4.9 |
-3.5 |
0.5 |
(A)/(C) 증감률 |
12.2 |
-4.3 |
6.2 |
돼지고기 생산량 전망 |
(단위: 천 톤, %)
구분 |
6월 |
7월 |
8월 |
2017년(A) |
33.5 |
26.8 |
26.9 |
2016년(B) |
28.6 |
23.3 |
22.6 |
평년(C) |
23.0 |
21.6 |
17.4 |
(A)/(B) 증감률 |
17.4 |
15.1 |
18.8 |
(A)/(C) 증감률 |
45.6 |
24.3 |
54.6 |
돼지고기 수입량 전망 |
(단위: 천 톤, %)
구분 |
6월 |
7월 |
8월 |
2017년(A) |
102.5 |
89.2 |
95.2 |
2016년(B) |
94.3 |
88.0 |
90.6 |
평년(C) |
84.0 |
84.4 |
81.6 |
(A)/(B) 증감률 |
8.7 |
1.4 |
5.0 |
(A)/(C) 증감률 |
22.0 |
5.7 |
16.7 |
돼지고기 공급량 전망 |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 > 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년 9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0) | 2017.09.04 |
---|---|
2017년 9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0) | 2017.09.04 |
2017년 9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0) | 2017.09.04 |
2017년 8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0) | 2017.08.02 |
2017년 8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0) | 2017.08.02 |
2017년 8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0) | 2017.08.01 |
2017년 7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0) | 2017.06.29 |
2017년 7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0) | 2017.06.29 |
2017년 7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0) | 2017.06.29 |
2017년 7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0) | 2017.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