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4월 1주차)
⦿ 농경연, 4월 축산가격 전망 (농민신문 - 2016.3.30.)
올 4~5월 한우 도축마릿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7만5854마리)보다 약 1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4월 평균 도매값(육질 1등급 1㎏ 기준)은 전년 동월(1만4872원)보다 14~28% 상승한 1만7000~1만9000원대에 이를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축산관측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한우값 강세에 따라 지난해에 이어 올해 들어서도 쇠고기 수입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올 1~2월 쇠고기 수입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3만9000t)보다 22.9% 많은 4만8000t이다. 4월 수입량도 전년 동월(2만4000t)보다 5%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
육우값 역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3월1일부터 23일까지 1㎏당 육우 평균 도매값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4%, 평년보다 25% 상승한 1만753원을 기록했다.
4월 돼지 지육가격(1㎏·탕박 기준)은 전년 동월(5044원)보다 하락한 4300~4600원으로 전망된다. 등급판정 마릿수가 지난해 같은 달(137만마리)보다 2.3% 증가한 140만마리에 달할 것으로 관측됐기 때문이다. 돼지 지육가격은 5월엔 4월보다 소폭 상승한 평균 4400~4700원, 6월엔 평균 4600~4900원대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산 돼지고기 생산량 증가와 외국산 재고 누적으로 인해 5~9월 수입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2% 감소한 12만2000t으로 예상된다.
4월 산지 육계(1㎏ 기준) 값은 1200~1400원으로, 전년 동월(1786원)보다 28~33% 정도 하락할 것으로 관측된다. 도계마릿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9.5% 상승한 8216만마리로 전망된 데 이어 4·13 총선 영향이 맞물리면서 닭고기 수요가 대폭 감소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냉동 비축물량의 경우 닭고기 공급과잉 현상이 심화되면서 계속 증가하고 있다. 2월28일 기준 비축물량은 지난해 말보다 20.7% 증가한 1168만마리였다.
⦿ “한우 15만5000마리 판매”…안심축산, 올 목표달성 결의 (농민신문 - 2016.4.1.)
농협 안심축산사업부가 올해 농협안심한우 판매목표를 15만5000마리로 설정했다.
안심축산사업부는 3월28일 농협중앙회 회의실에서 안심한우 협력업체 대표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6년 협력업체 대표자 회의’를 갖고, 올 판매목표 달성에 최선을 다할 것을 결의했다. 회의에서는 또 축산물 위생과 안전에 대한 교육과 함께 2016년 한우고기 시장 동향 및 전망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안심축산사업부는 ▲안심축산 사업물량 확대를 통한 판매농협 구현 ▲위생·안전 관리를 통한 소비자 신뢰 기반 구축 ▲공판장 활성화 및 안심축산 유통역량 강화 등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해나가고 있다.
강희석 농협안심축산 사장은 “축산물의 위생과 안전은 우리가 사업을 영위해나가는 근간이자 우리 사업이 지속 발전할 수 있는 경쟁력”이라며 “안심한우사업을 최고 브랜드로 육성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 한우 도축물량 감소 오르막, 돼지·육계는 내리막 (한국농어민신문 - 2016.4.1.)
▲한육우 = 지속적인 사육 마릿수 감소에 따라 4~5월 소 도축량은 전년 7만3400~8만6900두 대비 15% 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3월 한육우 사육마릿수가 전년 동월 266만 마리보다 5만 마리 감소한데 이어 지속적인 감소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
이에 따라 4월 이후의 한우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전년 동월에 비해 2200원~4200원 정도 상승한 1kg당 1만7000~19000원이 될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던 육우 마릿수는 2014년 9월 8만8000마리를 저점으로 증가세로 돌아섰으며, 육우가격 강세로 인해 지난해 12월 기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9.2% 증가한 11만5000마리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육우 가격의 경우 한우 도매가격 강세에 따라 동반 상승세를 타 3월 평균 육우(지육) 도매가격은 kg당 1만753원으로, 전년보다 4%, 평년 대비 25% 오른 것으로 파악됐다.
▲돼지 = 모돈수 증가에 따른 자돈 생산 증가로 인해 4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전년 동기보다 2.3% 늘어난 140만 마리로 전망됐다. 이 같은 등급판정 마릿수 정가는 돼지고기 생산량 증가로 이어져 4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지난해 동월보다 2.3% 증가한 7만4000톤으로 예측되고 있다.
돼지고기 생산량 확대는 가격에도 영향을 미쳐 4월 지육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5044원)에 비해 하락한 탕박 1kg당 평균 4300~4600원이 될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돼지고기 생산량 증가로 돼지고기 수입량은 2만6000톤 수준까지 줄어들 것으로 파악됐으며, 국내산과 수입산을 합한 4월 돼지고기 총 공급량은 전년보다 10.1% 감소한 10만 톤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기관측에선 5~9월 국내 돼지고기 총 공급량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1% 줄어든 46만3000톤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산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에 비해 4.8% 증가한 34만1000톤 수준이 될 것으로 분석됐으며, 수입산의 경우 국내산 증가와 재고 누적으로 인해 지난해 보다 14.2% 감소한 12만2000톤가량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돼지 지육가격은 탕박 1kg당 △5월 4400~4700원 △6월 4600~4900원 △7·8월 4300~4600원 △9월 3700~4000원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육계 = 병아리 생산 증가로 4월 육계 사육수수는 전년 동월보다 9.3% 증가한 9415만 수가 될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도계수수 증가로 이어져 4월 도계수수는 전년 동기에 비해 9.5% 늘어난 8216만 마리로 예측되고 있다.
이러한 닭고기 생산량 증가 분위기에 반해 소비수요는 지난해에 비해 줄어들 것으로 예상돼 4월 육계 산지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 1786원 보다 하락한 kg당 1200~1400원이 될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산지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4월 수입량은 4500톤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되며 수입량 감소에 따라 비축물량을 모두 합한 4월 닭고기 총 공급량은 2015년보다 1.2% 줄어든 9969만 수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업 > 축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4월 3주차) (0) | 2016.04.18 |
---|---|
연합뉴스 - 한국인 1년에 고기 51kg 먹는다...OECD평균엔 미달 (0) | 2016.04.16 |
YTN - 젖소 초유로 한우 송아지 키운다...초유 은행 인기 (0) | 2016.04.16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4월 2주차) (0) | 2016.04.11 |
연합뉴스 - 한강공원에 '친환경 농ㆍ축산물' 장터 열려 (0) | 2016.04.10 |
연합뉴스 - 소젖 짜고 송아지 기르는 로봇...'스마트 축사' 확산 (0) | 2016.04.03 |
KBS news - “버릴 곳 없어요”…맛과 영양 천국, 쇠고기 (0) | 2016.03.30 |
연합뉴스 - 양파ㆍ배추ㆍ쇠고기 가격 고공행진, 언제까지? (0) | 2016.03.28 |
YTN - 4개월 만에 AI 발생, 가금류 수출도 일부 차질 (0) | 2016.03.28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3월 4주차) (0) | 2016.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