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메탄 배출량 더 정확하게 산정…배출계수 추가 개발 |
□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소의 장내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 배출량을 보다 정확히 산정할 수 있도록 한우의 성장단계와 성별을 반영한 국가 고유 온실가스 배출계수 4종을 추가 개발했다고 밝혔다.
□ 배출계수란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활동 또는 배출원별로 발생량을 수치화한 값으로,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 산정, 감축량 평가, 탄소중립 정책 수립 등에 폭넓게 사용된다.
□ 우리나라를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제시한 기본값을 활용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하지만 축종별 성장 특성이나 실제 사육환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어 주요 선진국들은 자국 실정에 맞는 국가 고유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에 나서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국립축산과학원이 한우 장내 발효 메탄 배출계수 4종을 추가 개발하고, 환경부 산하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검증을 거쳐 지난해 12월 최종 등록을 마쳤다. 2025년부터는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활용될 예정이다.
□ 이번에 개발한 배출계수 4종은 △거세 한우 1~2세 △거세 한우 2세 이상 △한우 암소 1~2세 △한우 암소 1~2세 장내 발효 메탄 배출계수이다.
□ 새로 개발한 국가 고유 배출계수를 이용하면, 기존의 아이피시시(IPCC) 기본값으로 산정했을 때보다 한우 장내 발효 전체 메탄 배출량이 7%(186.7→174.0)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 현재 국립축산과학원이 지금까지 개발한 축산분야 배출계수는 총 21종이다. 이 중 장내 발효 메탄 배출계수는 한우 6종, 젖소 3종, 돼지 8종을 합해 17종이며, 이 밖에도 분뇨처리 4종이 있다.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정밀영양과 정현정 과장은 “이번 국가 고유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은 한우를 포함한 축산 탄소 배출량을 더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라며, “앞으로는 저탄소 사양관리 기술에 대한 감축 계수 개발도 함께 추진해 축산분야 온실가스 감축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정책 자료 > 농촌진흥청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 2025년 제2회 공무직근로자 채용공고 (2) | 2025.05.07 |
---|---|
농촌진흥청, 한우 번식우 영양 관리 공동연구 착수 (1) | 2025.05.07 |
저지종 송아지, 호흡기 질병엔 제때 백신 접종이 효과적 (0) | 2025.05.07 |
2025년도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가금연구센터 청원경찰 공개경쟁채용시험 공고 (4) | 2025.04.30 |
모기 매개 가축 전염병 주의, 예방 백신 접종 지금이 적기 (1) | 2025.04.25 |
축산농장 방역, 정확한 소독법 준수부터 (0) | 2025.04.25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한우연구센터 공무직근로자 채용 공고 (3) | 2025.04.18 |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복지과 기간제근로자(사육사) 채용 공고 (1) | 2025.04.15 |
국립축산과학원 일반직공무원(공업·위생) 경력경쟁채용시험 공고 (0) | 2025.04.11 |
2025년 제1회 가축유전자원센터 공무직근로자(연구원) 채용 공고 (2)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