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위치(스위칭허브)의 내부구조 분석

오늘도힘차게 2013. 2. 23. 11:28
728x90





스위치(스위칭허브)의 내부구조 분석



스위치는 일반 허브가 제공하는 장비와 장비 사이의 단순한 연결과 전체 대역폭을 각각의 장비가 공유해서 대역폭의 분배가 일어나는 것에 반해두 개의 포트를 마치 직접 연결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대역폭 공유로 인한 전송속도의 저하를 막고기존의 대역폭을 유지하여 보다 빠른 네트워크 속도를 보장하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이처럼 할당된 대역폭을 네트워크 상의 모든 장비가 ?유해 사용하는 일반 허브와는 달리 각각의 장비가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대역폭을 확보해 주며최근 급증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비가 바로 ''스위치''라 할 수 있습니다또한 스위치는 데이터링크 장비로서 동시에 많은 수의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 프레임 교환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개념적으로 살펴본다면 스위치는 브리지와 유사하지만 스위치는 포트별 병렬성을 제공해 하나의 포트에서 다른 포트로 동시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 줍니다브리지와의 차이점으로는 일단 많은 수의 포트를 제공하며동시에 수신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으며, CPU와 탑재된 소프트웨어에 영향을 받는 브리지와는 달리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보다 빠른 속도의 스위칭이 가능합니다.

스위치의 전송 메커니즘을 살펴본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각 수신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를 검사 -> ②주소 매핑 테이블을 참고해서 출력포트를 결정 -> ③ 출력포트가 전송 가능하면이 프레임을 전송

스위치의 전송 방식으로는 ①프레임 전체가 수신되기 전에 목적지 주소만을 보고 판단해 곧바로 전송하는 Cut-through(컷스루)방식과 ②출력포트가 전송할 상황이 아니면이를 내부 버퍼에 저장했다가 출력포트가 전송할 수 있을 때 전송하는 Store&Forward(축적전송)방식이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