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차(5.16. ~ 5.31.)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2025년 5월 2차(5.16. ~ 5.31.)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 한우 가공마릿수
o (사)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서 10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 기간의 가공마릿수는 2,651마리로 전기 대비 11.8%
(279마리) 증가하였고, 전년 대비 13.8%(423마리) 감소하였음.
- 생축을 구매하여 도축·가공한 마릿수 : 1,760마리(전기 대비 19.2% 증가, 전년 대비 11.2% 감소)
- 지육을 구매하여 가공한 마릿수 : 891마리(전기 대비 0.4% 감소, 전년 대비 18.4% 감소)
* 25년 5월 하순 한우 전체 등급판정 마릿수에서 조사대상 업체 10개소가 차지하는 비중 : 7.1%(전기 대비 0.1%증가, 전년 대비 0.1% 감소)
(단위 : 마리, %)
□ 부위별 수급 및 판매가격
o 생산 매입현황
- 조사업체 전체 매입량은 677.4톤으로 전기 대비 12.0%(72.8톤) 증가하였고, 전년 대비 9.5%(71.3톤) 감소하였음.
- 구이류 : 175.6톤[전기 대비 16.6%(25.0톤) 증가, 전년 대비 5.4%(10.1톤) 감소]
- 정육류 : 317.2톤[전기 대비 10.4%(29.8톤) 증가, 전년 대비 14.6%(54.1톤) 감소]
- 갈 비 : 184.6톤[전기 대비 10.8%(18.0톤) 증가, 전년 대비 3.7%(7.1톤) 감소]
* 품목별 매입비중(전기 대비 / 전년 대비) : 구이류 25.9%(▲1.0% / ▲1.1%), 정육류 46.8%(▼0.7% / ▼2.8%), 갈비 27.2%(▼0.3% / ▲1.6%)
(단위 : 톤, %)
주1) 안심 : 안심 및 특수부위
주2) 불고기용 : 앞다리, 설도, 우둔
o 판매현황
o 전체 판매량은 593.4톤으로 전기 대비 13.8%(72.2톤) 증가하였고, 전년 대비 11.4%(76.5톤) 감소하였음.
- 구이류 : 145.4톤[전기 대비 17.5%(21.6톤) 증가, 전년 대비 9.4%(15.2톤) 감소]
- 정육류 : 274.6톤[전기 대비 15.5%(36.9톤) 증가, 전년 대비 17.3%(57.4톤) 감소]
- 갈 비 : 173.5톤[전기 대비 8.5%(13.6톤) 증가, 전년 대비 2.2%(4.0톤) 감소]
* 품목별 판매비중(전기 대비 / 전년 대비) : 구이류 24.5%(▲0.8% / ▲0.5%), 정육류 46.3%(▲0.7% / ▼3.3%), 갈비 29.2%(▼1.4% / ▲2.7%)
o 온라인 판매량은 45.7톤으로 전기 대비 2.5%(1.1톤) 증가하였고, 전년 대비 18.8%(10.6톤) 감소하였음.
- 구이류 : 16.3톤[전기 대비 7.3%(1.3톤) 감소, 전년 대비 4.4%(0.7톤) 증가]
- 정육류 : 22.3톤[전기 대비 9.0%(1.9톤) 증가, 전년 대비 30.4%(9.8톤) 감소]
- 갈 비 : 7.1톤[전기 대비 8.7%(0.6톤) 증가, 전년 대비 17.3%(1.5톤) 감소]
* 품목별 판매비중(전기 대비 / 전년 대비) : 구이류 35.7%(▼3.8% / ▲7.9%), 정육류 48.9%(▲2.9% / ▼8.2%), 갈비 15.4%(▲0.9% / ▲0.3%)
o 오프라인 판매량은 547.7톤으로 전기 대비 14.9%(71.0톤) 증가하였고, 전년 대비 10.7%(66.0톤) 감소하였음.
- 구이류 : 129.1톤[전기 대비 21.6%(22.9톤) 증가, 전년 대비 10.9%(15.9톤) 감소]
- 정육류 : 252.2톤[전기 대비 16.1%(35.1톤) 증가, 전년 대비 15.9%(47.6톤) 감소]
- 갈 비 : 166.4톤[전기 대비 8.5%(13.0톤) 증가, 전년 대비 1.5%(2.5톤) 감소]
* 품목별 판매비중(전기 대비 / 전년 대비) : 구이류 23.6%(▲1.3% / ▼0.1%), 정육류 46.0%(▲0.5% / ▼2.8%), 갈비 30.4%(▼1.8% / ▲2.9%)
(단위 : 톤, %)
주1) 안심 : 안심 및 특수부위
주2) 불고기용 : 앞다리, 설도, 우둔
o 재고현황
o 조사업체 총 재고량은 248.8톤으로 전기 대비 5.5%(13.0톤) 증가하였고, 전년 대비 4.9%(11.6톤) 증가하였음.
- 구이류 : 74.2톤[전기 대비 7.4%(5.1톤) 증가, 전년 대비 25.8%(15.2톤) 증가]
- 정육류 : 149.4톤[전기 대비 1.7%(2.5톤) 증가, 전년 대비 12.5%(16.6톤) 증가]
- 갈 비 : 25.2톤[전기 대비 26.8%(5.3톤) 증가, 전년 대비 44.5%(20.1톤) 감소]
* 품목별 재고비중(전기 대비 / 전년 대비) : 구이류 29.8%(▲0.5% / ▲5.0%), 정육류 60.1%(▼2.2% / ▲4.0%), 갈비 10.1%(▲1.7% / ▼9.0%)
o 전체 추정재고량은 3,511.5톤으로 전기 대비 4.1%(139.6톤) 증가하였고, 전년 대비 5.7%(190.0톤) 증가하였음.
- 구이류 : 1,047.1톤[전기 대비 6.0%(59.2톤) 증가, 전년 대비 26.8%(221.2톤) 증가]
- 정육류 : 2,109.4톤[전기 대비 0.4%(8.9톤) 증가, 전년 대비 13.3%(248.3톤) 증가]
- 갈 비 : 355.1톤[전기 대비 25.2%(71.5톤) 증가, 전년 대비 44.1%(279.6톤) 감소]
(단위 : 톤, %)
주1) ( ) 안은 조사한 재고를 근거로 국내 전체 재고를 추정한 수치임. 증감률 ( ) 안은 추정한 국내 전체 재고의 증감률을 나타낸 수치임.
주2) 전체 재고추정은 조사 재고량을 전체 등급판정 마릿수 대비 조사업체 10개소 점유율로 나눈 수치임.
주3) 안심 : 안심 및 특수부위
주4) 불고기용 : 앞다리, 설도, 우둔
o 판매가격현황
o 구이류는 전기 대비 거세우 1+등급 이상 등심이 상승하였고, 암소는 1++등급 등심과 안심이 상승하였으며, 전년 대비 1+, 1등급 암소 등심을 제외한 거세우와 암소의 대부분 부위가 상승하였음.
- 전기 대비 가장 상승률이 큰 부위 : 거세우 1++(7)등급 등심, (0.7% 상승), 암소 1++(7)등급 등심(1.8% 상승).
- 전기 대비 가장 하락률이 큰 부위 : 거세우 2등급 채끝(2.0% 하락), 암소 1등급 등심(1.5% 하락).
o 정육류는 전기 대비 거세우 1+등급 이상 목심과 1, 2등급 양지를 제외한 모든 부위가 상승하였고, 암소는 목심 가격 상승 외에 큰 변화는 없었으며, 전년 대비 암소 1등급 양지 외 거세우와 암소 대부분의 부위가 상승하였음.
- 전기 대비 가장 상승률이 큰 부위 : 거세우 2등급 불고기(4.3% 상승), 암소 1++(8)등급 목심(3.5% 상승).
- 전기 대비 가장 하락률이 큰 부위 : 거세우 1++(7)등급 목심(2.6% 하락), 암소 1등급 양지(1.2% 하락).
o 갈비는 전기 대비 거세우는 1++, 1+, 1등급이 하락하였고, 암소는 1++등급이 하락하였으며, 전년 대비 거세우는 모든부위가 상승하였으며, 암소는 대부분 소폭 하락하였음.
(단위 : 원/kg, %)
주1) 각 부위별 등급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 수치임.
주2) 불고기용 : 양지, 설도, 우둔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